수정판.
막스 베버는 이 책에서 어떤 생각을 했는가?
종교 개혁이란, 삶 전반에 대한 교회의 지배가 끝났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지배 형식이 다른 것으로 바뀌었음을 뜻한다.
프로테스탄트가 경제적으로 부유한 까닭은 무엇일까? 프로테스탄트는 금욕적이고 엄격하며 철저한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프로테스탄트가 물질적인 것들을 추구한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테스탄트가 경제적으로 부유한 까닭은 무엇일까? 프로테스탄트는 금욕적이고 엄격하며 철저한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프로테스탄트가 물질적인 것들을 추구한 이유는 무엇인가?
경제적인 활동에 잘 참여하는 프로테스탄트와는 다르게, 기독교도들은 경제 활동에 쉽게 참여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가정과 사회로부터 학습한 종교적 영향 때문인데, 이러한 영향은 개인의 직업 뿐만 아니라 인생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보통 소수 집단은 다수의 지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부를 축적하는 경우가 많다. 다수로부터 권력을 빼앗아오기 어려우므로 돈을 모아 부를 쌓아두는 방식으로써 힘을 얻는 것이다. 대표적으로는 2천년간 떠돌았던 유태인들이 있다.
그런데 독일의 경우를 보면, 다수인 프로테스탄트들이 많은 부를 축적하고 있다. 오히려 소수인 기독교도들은 경제적 활동에 관심이 없다.
이는 프로테스탄트가 가진 경제적 합리주의 때문이다. 경제적 합리주의는 근대 자본주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그러나 초기 자본주의의 탄생에 기여한 것은 아니다.) 근대 자본주의는 전통적 자본주의와는 큰 차이점을 가진다. 전통적 자본주의의 노동자들은 같은 시간을 일하고 더 많은 돈을 받는 것 보다는 어떻게하면 같은 돈을 받으면서 더 적은 시간을 일할 수 있을까에 관심이 더 많았다. 때문에 성과급 제도가 이들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반면 근대 자본주의의 노동자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소명을 갖고 일을 하기 때문에, 정당한 방식으로 정당한 돈을 벌어들임에 거리낌이 없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소명은 종교적인 이유에서 나온다. 프로테스탄트에서 직업이란, 신이 자신에게 준 사명으로 여겨진다. 때문에 프로테스탄트들은 자신의 직업에 충실하며, 그 댓가로 받은 돈을 정정당당하게 여기면서, 그 돈이 소명에 대한 결과물이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프로테스탄트의 생각은 근대 자본주의의 기본틀이 되었다.
노동자에 대한 착취에서 이윤이 나왔다고 보는 마르크스 주의와는 상반되는 내용이다. 베버는 오히려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원해서 이윤을 추구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프로테스탄트의 부는 경건주의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 자본주의의 에토스는 무엇인가? 이건 더 읽어봐야 알겠고....
프랭클린의 공리주의. 신용이 있는 사람은 그 신용을 이용하여 돈을 버는 것이 삶의 의무이다. 실제로 정직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정직한 척을 하고, 그것이 타인들에게 정직한 것으로 인식된다면 괜찮다.
막스 베버는 결국 개인이 직업에 충실하여 정직하게 벌어들인 돈이 인정되고 이러한 서클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는 사회를 주장한 것일까.
현대 프로테스탄트의 경제는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변해왔는가? 그리고 만일 경건주의와 금욕이 경제 발전의 반석이 되었다면, 그들이 허투루 쓰지 않는 그 돈들은 어떻게 다시 사회에 투자가 되었는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